본문 바로가기
  • moqlus.tistory.com

LIFE74

정보통신 유지관리자 선임 기준, 자격 기준 자타공인 정보통신 강국인 우리나라에서는 유무선 통신 이용이 어디서나 편리합니다. 정보통신 활용은 보안, 안전, 산업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는 정보통신 유지관리자 선임기준 및 자격 기준을 정해두고 있습니다. 누가 언제 무슨일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보통신 유지관리자 하는일법령에 따르면 정보통신설비는 유선, 무선, 광선, 기타 전자적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를 뜻합니다. 정보통신 유지관리자는 이 같은 설비가 안정적으로 언제든 작동할 수 있도록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대상이 되는 정보통신 서비스는 유선 및 무선 인터넷, 전화, 안테나, 케이블, 음향, 보안, 방송, 주차관제, 네트워킹, 위성통신, CCT.. 2025. 7. 27.
중장년 경력 지원제 대상, 신청 방법 퇴직 후에도 일할 수 있고, 일자리가 필요한 중장년층을 위해 정부에서는 중장년 경력지원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누가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는지, 혜택 및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지, 실제 참여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재취업을 고려하는 개인 및 기업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장년 경력 지원제 대상참여자: 50~65세 미취업 중장년참여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 10인 이상 기업(혁신기업은 5인 이상)중장년 경력 지원제는 조기퇴직 후 재취업을 위한 준비가 되어있는 50세 이상의 중장년 모두가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단 중장년내일센터, 훈련기관 등에서 새로운 직업을 위한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직업훈련을 마치고 실무 투입이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이 같은 중장년에게 .. 2025. 7. 25.
위반건축물 이행강제금 확인, 소멸시효 불법 건축물에는 지자체에서 원상복구 하거나 적법한 신고를 진행하는 등의 시정 명령이 전달됩니다.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계속해서 위반된 상태로 건물을 유지한다면 이행강제금이 부과됩니다. 위반건축물 이행강제금 확인 방법, 그리고 감경, 5년 또는 5회의 부과 횟수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내용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반건축물 예시사용승인, 착공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건물 내 벽을 만들어 세대 수를 늘린 경우1층에 공간을 확장하여 영업하거나 거주하는 경우일조권 사선제한임에도 옥상을 증축하는 경우근린생활시설을 주거용 건축물로 무단 변경하는 경우건축물의 형태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건축법에 따라, 지자체에 미리 신고하거나 허가를 받는 확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법한 과정 없이 마음대로 건물.. 2025. 7. 21.
비상 방송설비 설치대상, 스피커 간격 화재는 빠르게 퍼져나가기에, 더 많은 사람이 안전히 대피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비상 방송설비가 필요한 것입니다. 스피커, 음량조절기, 증폭기 등을 포함하는 비상 방송설비 설치 대상, 설치 기준, 각각의 설치 방법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상 방송설비 설치 대상연면적 3,500제곱미터 이상인 건물의 모든 층층수가 11층 이상인 건물의 모든 층지하층이 3층 이상인 건물의 모든 층비상 방송설비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이나 테러, 위협 등으로 인한 대피가 필요한 경우, 비상경보 내용을 녹음해 두었다가 건물 내 모든 인원에게 알리는 장치입니다. 특히 화재의 경우, 화재감지설비가 해당 사실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스피커로 안내 음성이 송출되기도 합니다. 이 같은 비상 방.. 2025. 7. 17.
연결송수관 설비 설치대상, 기준 화재 진압을 위해서는 소방관이 사용할 수 있는 소화용수가 풍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스프링클러 등의 소화 설비가 함께 설치되어, 소화용수가 다른 경로로 방출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물이 적어집니다. 또한 고층 화재에서는 소화용수 공급이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이 같은 이유로 연결송수관 설비 설치대상 및 설치 기준에 대한 내용이 개정 적용되고 있습니다. 세부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연결송수관 설비 설치대상5층 이상이며 연면적 6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지하층 포함, 층수가 7층 이상인 경우지하층이 3층 이상이며, 지하층의 바닥면적 총합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길이 1천미터 이상의 터널소방시설법에 따르면, 연결송수관 설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됩니다. 우선 .. 2025. 7. 15.
비상콘센트 설비 설치 기준, 설치 대상 화재 시 이를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조명이나 파괴기구 등 불을 끄는데 필요한 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 비상콘센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언제든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에, 비상콘센트 설비 설치 기준은 별도로 정해져 있습니다. 어디에 어떻게 설치해야 하는지 비상콘센트 설치 관련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비상콘센트 설비 설치 대상층수가 11층 이상이라면, 11층 이상의 각 층에 설치지하층이 3층 이상이고 바닥면적 합계가 1천제곱미터 이상이라면, 지하의 모든 층길이 500미터 이상의 터널지상층의 층수가 7층 이상이며, 연면적 2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지상층의 층수가 7층 이상이며, 지하층 바닥면적이 3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비상콘센트를 설치해야 하는 소방대상물부터 소개합니다. 먼저 건물의 층수가 11층 이상인 경.. 2025. 7. 11.